⚠️ 2021.06.27에 작성된 글입니다 ⚠️
필요성
aws 인스턴스를 생성하면 다음과 같이 Management Console(인스턴스>인스턴스)에서 인스턴스의 ip를 확인할 수 있다.
퍼플릭 IPv4가 인스턴스의 ip인데, 문제는 이 ip가 유동적이라는 것이다.
인스턴스를 멈추고 재시작(stop->start)할 때마다 ip가 변경된다.
따라서 ip를 고정하기 위해 Elastic IP(탄력적 IP)를 할당해주어야 한다.
탄력적 IP (Elastic IP)란?
aws에서 동적 클라우드 컴퓨팅을 위해 제공해주는 고정ip이다. aws 계정에 할당해주는 것이기 때문에, 탄력적ip를 해제해주기 전까지는 할당 받은 계정이 사용할 수 있다.
현재 IPv6은 지원하지 않는다.
탄력적 ip를 할당하는 것은 무료이지만, 할당한 후 인스턴스에 연결하지 않으면 과금된다.
작업 순서
(+) 탄력적 ip 해제하기
- 탄력적 ip 할당받기
- 인스턴스에 ip 연결하기
탄력적 IP 할당받기
(Manage Console > 네트워크 및 보안 > 탄력적 IP)
탄력적 IP 주소 할당 버튼을 눌러 할당 창으로 이동한다.
할당 창에서 그룹, 주소풀 태그 등 설정을 해준 뒤 할당 버튼을 누른다.
새로운 IP가 할당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인스턴스에 IP 연결하기
새로 할당된 IP를 인스턴스에 연결해줄 차례이다.
연결할 IP를 체크해준 뒤 '작업 > 탄력적 IP 주소 연결'을 선택한다.
연결 창에서 연결해줄 인스턴스를 선택하고, 해당 인스턴스의 프라이빗IP주소를 선택해준다.
원하는 경우 재연결 허용을 체크한다.
이렇게 연결을 하면, 고정된 ip(탄력적 ip)를 통해 인스턴스에 접근할 수 있다.
(+) 탄력적 IP 해제하기
사용하지 않는 탄력적 ip가 있다면 할당받고 있다면 과금이 된다.
따라서 더이상 인스턴스에 연결하지 않게된 ip는 반드시 해제해 할당을 그만 받아야 한다.
(Manage Console > 네트워크 및 보안 > 탄력적 IP)
해제할 ip를 선택한 뒤 '작업 > 탄력적 IP 주소 릴리즈'을 선택한다.
아래와 같이 안내문구가 나오면, 릴리즈 버튼을 누른다.
ip 해제가 성공적으로 되었다면 탄력적 IP 주소 목록에서 해당 ip가 사라지고, 다음과 같이 초록색으로 릴리스되었다는 메시지가 나타난다.